Mussolini Carries World War II?! RAW novel - Chapter (267)
무솔리니가 캐리하는 2차대전?! 267화(267/270)
나폴리 자이언츠
바리 델피니
팔레르모 피라티
칼리아리 밤비니
자다르 알리에니
피렌체 오르시
트렌트 아퀼레
(외전) 피자위키 – 브리튼 핵위기
1969년 8월 31일
이탈리아 로마
현임 이탈리아 총리, 갈레아초 치아노는 정보국에서 올린 보고서를 뚫어져라 쳐다보았다.
“확실한가? 의심되는 부분은 전혀 없고?”
“그렇습니다.”
치아노는 무솔리니 이후의 총리 중에서는 처음으로 2번째 임기를 수행하고 있었다. 이건 치아노가 다른 총리에 비해 뛰어나서가 아니라, 무솔리니가 퇴임한지 시간이 꽤 지났고 본인도 젊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지만….
“임기 늘그막에 이런 사고가 있지 않았으면 했는데…..”
그는 무솔리니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마지막 정치인 세대로서 장인의 이름을 더럽히고 싶지는 않았다.
그렇다면 세계에서의 이탈리아의 질서, 즉, ‘팍스 이탈리아나’는 반드시 지켜져야만 한다. 그리고 지금 자신에게 온 보고서는 그 질서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동이다. 따라서 위험 부담이 있더라도 지금 행동해야만 할 터.
“영국의 핵무기 보유량이 68발, 거기에 삼중수소 밀수까지 했다라…..”
가히 충격적인 일이 아님에 틀림없었다. 그동안 미국과 이탈리아도 핵확산 금지조약을 어기는 것은 꿈도 꾸지 않았거늘, 이 무슨 비신사적인 행동이란 말인가?
장인께서 ‘섬나라 놈들은 믿을 수 없다’ 라고 하더니, 참으로 옳은 말이었다. 말한 김에 두 일본에 대한 조사도 한 번 하는 것이 좋겠군.
이탈리아의 정보국은 미국을 포함해서 모든 곳을 들여다 보았다. 비밀을 숨길 수 있다는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았다.
“유엔 안보리 회의를 소집하시오. 그리고 사전에 영연방 국가들은 미리 포섭해 놓으면 좋겠소. 가능하면 미국에게도 연락을 하시오.”
*****
브리튼 핵위기(Britain Nuclear Crisis)
1. 개요
1969년, 영국이 핵확산 금지조약을 위반하였다는 사실이 폭로되면서 발생한 위기. 사건의 결과로 영국은 아직까지 존재하던 모든 해외 속령이 독립했으며 영연방에 대한 패권을 대부분 상실하게 된다.
2. 배경
핵 확산 금지조약은 세계의 멸망을 초래할 수 있는 핵무기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조약이다. 이 조약은 모든 국가가 10개 이상의 핵무기를 가질 수 없도록 하였고, 또 보유한 핵무기의 양에 따라 유엔에 분담금을 지불하도록 함으로서 추가적인 제한을 걸었다.
이러한 분담금은 선진국의 경우, 핵무기 10개 보유시 자국 GDP의 1%, 후진국의 경우에는 유엔 가입국 평균 GDP의 1%를 지불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강력한 방지책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비록 유엔의 제제가 잘 닿지 않는 후진 독재 국가라 하더라도, 핵을 보유하려 한다면 자국 경제로 감당할 수 없는 비용을 지출해야 하므로 이러한 경우는 매우 적었다. (각주: 예를 들어 1990년까지 핵을 1발 보유했던 독재국가 우간다 공화국은 이 1발로만 자국 GDP의 5%를 지불해야 했다.)
선진 국가의 경우에는 이를 감당할 경제력이 되긴 하겠으나 자국 GDP의 1%는 일반적인 국가 군사비의 절반 정도에 해당할 만큼 가벼운 수치는 아니었으며, (각주: 핵무기의 가성비를 분담금이 파괴하는 식이다.) 이렇게 지불되는 돈은 유엔 운영의 핵심이 될 수 있었다.
다만 이렇게 뛰어난 억지력을 가진 핵확산 금지 조약에도 허점은 있었는데, 가입국에서 작정하고 핵 보유 사실을 숨기려 하면 한계가 있다는 점이었다. 물론 유엔에서는 가입국의 핵무기 사찰을 시행했으나 사실상 민간 업체에 가까운 이상 국가 기밀을 들여다보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3. 전개
영국은 핵확산 금지조약의 체결 당시 조약에 기권표를 행사한 8개국 중 하나였다. 전쟁에서는 연합국의 편으로 참전했으나, 중간에 내전으로 이탈했었고 이탈리아 주도의 질서와는 다른 길을 걸어온 영국은 이탈리아, 미국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은 ‘제 3의 길’을 걷기를 원했다.
전쟁 이후 영국은 빠르게 식민지를 해방하되, 이들 국가를 하나의 국가원수, 브리튼 국왕을 모시는 영연방에 가입시켜 본인의 영향력을 확보하려 했다. 독립 전쟁으로 사실상 독립한 바라트 공화국 (인도), 북아일랜드를 영국 내전 참전으로 할양받은 아일랜드 공화국도 예외는 아니었다. (각주: 이들 국가는 영국에 대한 증오심이 크지만, 영국이 스스로 권리를 포기한다면 국왕 한 명 모시는 것 정도는 용인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결성된 영연방은 이탈리아, 프랑스를 넘어 미국에도 준하는 거대 공동체로, 세계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영연방의 결속력은 일반적인 연방, 연합국가, 심지어 유럽 연합(지중해 조약) 보다도 약한 편이었으나 미국과 이탈리아에 속하지 않은 3의 세력의 수장이라는 점은 충분한 영향력이 모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영국은 1950~1960년대 동안 온전의 중재국, 혹은 대안으로서 번영을 누릴 수 있었다. 이러한 방면에서 영국은 또 다른 3의 길 국가, 소련, 멕시코 등과 함께하기도 하였으며 이탈리아, 프랑스 위주의 유럽 대륙 질서를 견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문제는 영국이 지나친 욕심을 부렸다는 것이다. 영국은 혹여라도 전쟁이 벌어질 시, 타 국가를 모두 제압할 힘을 원했으며 이는 빈약한 브리튼의 생산력으로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에 따라, 영국군은 금단의 무기인 핵무기에 손을 대기 시작한다.
1969년에 폭로된 문건에 의하면, 1950년 핵실험에 성공한 영국은 핵확산 금지조약에 가입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비밀리에 핵실험을 진행했다. 이에 따라 1967년 무렵에 그들은 60여개의 핵탄두를 보유했고 조약에 따라 금지된 수소폭탄 실험을 진행하는 중이었다.
당시 영국이 보유한 핵무기의 양은 이탈리아를 완전히 파괴할 수 있는 양이었으며 핵물질 생산력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1년에 10여발의 핵무기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다.
폭로의 결과는 즉각적이었다. 그동안 서로 불편한 관계였던 미국과 이탈리아는 영국을 징벌하기 위해 즉각 협력하였으며, 분노한 유엔 가입국들은 1969년 11월 7일, 만장일치로 영국에 대한 제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에는 그동안 영국과 밀접한 관계였던 소련, 주월 공화국, 멕시코, 브라질, 그리고 영연방 국가들까지 전부 동참했다.
결의안이 즉각 시행됨에 따라 영국에 대한 대부분의 경제 교류가 금지되고 유엔군, 이탈리아군, 프랑스군 등이 영국 앞바다에서 무력 시위를 벌인다.
유엔 가입국들은 대사관을 대부분 철수시켰으며 국내의 무역 외에도 영국을 향한 모든 종류의 투자를 금지시키기 시작했다. 또한 주월 공화국은 그동안 이어지던 영국과의 밀접한 관계, 또 홍콩 반환 협상을 파기하고 홍콩을 직접 공격하여 점령한다. 본래 영국과 사이가 좋지 않던 아르헨티나 역시 포클랜드 제도를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추가적인 무역, 투자, 교류 금지 이외에도 사건 이후 국제 투자자들이 영국에서 자금을 대량으로 유출했기 때문에, 영국의 경제는 빠르게 붕괴하기 시작했다.
1969년 12월 11일, 결의안 시행 1개월 만에 브리튼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40% 이상 폭락하였다. 또한 영국의 4분기 경제성장률이 평화 시기에 처음으로, 그리고 선진국 중에서도 거의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며 영국 정부는 혼란 상태에 빠진다.
몇 개월의 짧은 기간 동안 영국 총리는 3차례나 교체되었으며 노동당 의원들은 당시 보수당 정부에 반발하여 의원직 총사퇴를 감행했다. (각주: 물론 노동당 역시 전쟁 이후에 집권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이는 책임을 피하기 위한 쇼로 보는 것이 옳다.)
4. 결과
1969년 12월 21일, 영국 정부가 유엔 제제안을 받아들이기로 합의하면서 핵위기가 끝난다. 다만 그 과정에서 영국이 입은 상처는 씻을 수 없는 것이었다.
영국이 직접적으로 받은 제제 목록은 다음과 같다. 영국은 1990년 까지 핵무기 보유량이 1개로 제한되었으며, 이를 초과하는 핵물질은 즉시 폐기해야만 했다. 또한 영국은 그동안 보유했던 핵무기에 대한 분담금 명목으로 핵무기 1개당 1950년 GDP의 0.2%를 20년 분량 유엔에 지급해야 했다. 이는 당시 GDP의 2배가 넘는 금액에 달한다.
이는 20년 전의 GDP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1970년의 기준으로 하면 그만큼 압도적인 금액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영국의 국가 부채는 이 사건 때문에 2~3배로 늘었으며 영국 국민들은 향후 수십년 간 강력한 증세 정책에 시달려야만 했다.
또 위기 과정에서,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일랜드, 버마, 말레이시아 등 영연방의 주요 국가들이 영연방을 탈퇴한다. 또한 호주, 캐나다 등 영연방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나라들 또한 탈퇴를 진지하게 고려하는 상황이었다.
당시 탈퇴한 국가들은 훗날 영연방에 가입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각주: 인도의 경우 1982년에 재가입했다.) 이렇게 재가입한 국가들은 대부분 영연방 ‘왕국’ 이 아닌 독립국 자격으로 가입하였다. 이는 더 이상 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섬기지 않겠다는 소리였으며 영국의 맹주 지위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말이기도 했다.
이를 받아들여야 했던 영국이 그만큼 급했다는 사실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현재 영국은 영연방 맹주 지위를 두고 인도, 캐나다와 다투고 있으며 (각주: 사실상 인도가 우월한 상황이다.) 영국 국왕은 8개 국가만의 국가원수이다.
또한 위기는 스코틀랜드, 웨일스의 독립 여론을 촉발시켰다. 잉글랜드 국왕에 대한 충성심이 그리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제제의 여파를 견뎌야 했던 두 연방 구성국은 영국의 욕심 때문에 일어난 사단에 분노했으며 애매하던 독립 여론이 크게 일어나게 되었다.
이에 스코틀랜드에서는 1970년, 웨일스는 1978년에 독립 투표를 시행하여 독립에 성공했으며, 이들은 영연방에는 가입하되 영국과는 엄연히 독립된 나라로 남았다. 당시 국제 사회의 감시를 받던 영국은 이들을 막을 힘이 없었다.
또한 이 독립의 결과로 영국은 북해의 유전을 상당수 스코틀랜드에게 빼앗기며 영국의 경제는 장장 20여년 간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5. 같이 보기
핵 확산 금지 조약
제 3의 길
*****
잉글랜드 왕국
건국: 927년
수도: 런던
면적: 130,279km
인구: 52,196,021 명
민족 구성: 영국인 (82%)
인구 밀도: 400.6명/km
공용어: 영어
명목 GDP: 1조 8902억 달러
1인당 GDP: 36,215 달러
신용 등급: 무디스 A2
—————
스코틀랜드 공화국
독립: 1970년 4월 8일